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귀농 귀촌의 정의와 자격요건 및 준비절차-경기도

by 윙클리 2024. 10. 18.

1. 귀농귀촌의 정의

 

귀농인이란 농어촌 지역으로 이전하기 직전에 농어촌(읍, 면 지역이 아닌 도시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1년 이상 계속 주민등록되어 있던 사람이  농어업을 위해 거주지를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 및 주민등록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귀촌인이란 1. 학업을 위해 단독으로 이주한 경우 2. 직장 전보를 위해 이주한 경우 3. 건강 등의 이유로 기도원, 요양시설 등으로 이주한 경우  4. 군인, 의경, 공익근무요원 등이 사회적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주한 경우, 가족이 부부이상 반드시 전입하여 거주하여야 합니다.

 

경기도 귀농 귀촌 센터
경기도 귀농귀촌 센터 - 자격요건

2. 갖추어야 할 요건 및 연령제한

 

농어업에 종사한 기간이 농림축산식품부령 또는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상인 자. 농업에 종사하는 자란 1000 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농촌정비법 제84조에 따라 비농업인이 분양이나 임대받은 농어촌주택 등에 부속된 농지를 제외한다)를 경영하거나 경작하는 사람.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 원 이상인 사람. 영농조합법인의 농산물 출하 가공 수출활동, 판매활동에 1년 이상 계속하여 고용된 사람이어야 합니다. 연령은 65세 이하의 세대주가 요건입니다. 농지원부는 농지 소유 및 임대차 현황파악 등 농지관리 업무나 농업 관련 자금지원 대상 농가 선정 등 농정시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을 대상으로 주소지 읍, 면, 동사무소에서 작성하면 됩니다. 농지원부 인정기간은 도시지역에 있으면서 발급한 농지원부의 경우 전입일 2년 이내에 작성이 되어 있으면, 귀농준비기간으로 인정하여 농업 이외의 직종에 종사한다는 항목의 결격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3. 준비절차

 

Step 1 : 귀농 탐색 및 결심단계- 사전에 농업관련 기관이나 선배 귀농인을 방문하여 필요한 정보수집을 합니다.(귀농 귀촌 종합센터, 귀농 귀촌 창업박람회, 경기도 귀농귀촌 정보센터 등 활용) Step 2:  작목선택 단계- 자신의 여건과 적성에 적합한 작목을 신중하게 선택합니다. Step 3: 영농기술 단계 -귀농자 교육프로그램 참여 및 귀농선도 농가 견학을 통해 영농 기술을 배우고 익힙니다. Step 4: 정착지 물색 단계- 선택한 작목에 적합한 입지조건이나 농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착지를 물색하여 결정합니다. Step 5: 주택 및 농지 구입 단계-주택의 규모와 형태, 농지의 매입 여부를 결정한 뒤 최소 3~4군데를 골라 비교하여 선택합니다. 농지구입은 처음에는 본인이 감당할 만한 면적을 임대해서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토지 및 건물 구입 시 ㄷㅇ기와 함께 건축물대장 상의 소유담보 여부를 점검하는 것은 필수이며, 농기계 역시  처음 얼마 동안은 임대해서 쓰다가  익숙 새진 연후에 구입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Step 6: 영농 계획 수립 단계- 합리적이고 지밀 한 영농계획 수립하여야 하고, 과도한 초기 투자는 금물입니다. 귀농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최소 3년 정도는 공부하면서 준비한 후 결정을 하시고 틈날 때마다 귀농 예정지를 자주 방문해 농촌 환경과 문화에 적용하며 귀농지역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귀농 교욱도 수강하시면 좋습니다. 주택구입 및 신축: 처음에는 농가주택 등을 임대해서 2-5년 살며 본인 취향이나 주변 땅값 등을 고려한 후 실제 거주할 집을 짓는 것이 현명합니다. 주택은 실속 있게 (20명 내외) 지어 건축비나 관리비(난방 등)를 절감하되 창고를 가능한 한 넓게 짓고 공간이 된다면 비와 햇빛을 가려주는 작업공간을 따로 마련합니다. 자금준비는 최소 2~3년은 버틸(수입이 없어도) 정착 자금 마련이 성공적인 귀농의 필수 요건입니다. 귀농준비자금은 주택 및 토지 구입 자금부터 영농자금(농기계 구입, 설비투자, 종묘 및 비료 등 구입) 생활비 등에 대해 철저히 분석한 후 자금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정책자금 신청은 크게 자금 융자, 출연자금, 기타 간접 자원으로 구분되며 연초(1월)에 그 해의 정책자금지원 계획이 공고됩니다. 지원 규모, 지원 조건 및 자금 종류 등은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고 있으며, 예산 운용에 따라 연중 수시로 지원 계획이 공고될 수 있습니다. 정책자금은 선착순으로 자금 소진 시까지 신청 가능하므로 자금 소요 일정을 미리 계획하여 적기에 신청하고 특히 정책자금 조달을 위해 필요한 요건을 즉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창업 초기부터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